저도 유튜브 제작잡니다.
오늘 공교롭게도 제 채널의 구독자 수가 5만명을 넘어섰습니다.
어렵게 고생해서 이룬 성과이기에 저에겐 매우 뜻깊게 다가옵니다.
사실 유튜브 제작자에게 있어 가장 큰 관심사는
구독자 수 그리고 조회수입니다.
이것이 수익을 창출하고
영향력을 확대하게 만드는 동력이 됩니다.
그래서 너도나도 유튜브 구독자 늘리기에 혈안이 되고요.
조회 수는 곧 시청 시간과 직결되는데
유튜브는 연간 4천 시간 시청,
또는 1천 명의 구독자를 확보한 채널에 대해서
광고비를 주고 있습니다.
구독자 190만명의 어떤 유명 유튜브 제작자는
연매출 17억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서 누리꾼에게 지지를 받고
그 지지를 토대로 또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선순환의 효과가 발생한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만,
요즘 유튜브의 조회수 구독자수 늘리기는
그다지 공정한 토대 위에서 이뤄지는 것 같지 않습니다.
돈만 내면 유튜브 조회수와 구독자수를
늘리는 길이 얼마든지 있다는 모 방송사 보도 때문입니다.
유튜브는 부정한 방법으로 조회수와 구독자수를 늘리다 적발되면
최고, 계정를 없애는 식의 불이익을 준다지만
이 감시망을 피하는 건 그리 어려워보이지 않습니다.
조작과 교란은 유튜브에서만 있지 않습니다.
얼마전 한국사회를 뒤 흔들었던 이른바 두루킹 댓글조작 파문
나아가 지난 정부 국가정보원 국군사이버사령부의 정치댓글은
한국 인터넷 공론의 장이 크게 오염돼 있음을 보여줍니다.
사람 하나가 천명의 각기 다른 분신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그러니까 가짜계정 천개 이상을 제조해낼 수 있다는 사실.
우리는 그 장난 그리고 난장판 속에서 기만당해왔던 것이지요.
천명이 한 사람일 수 있다고 생각하니
어느 순간부터 저는 인터넷 댓글에 대해
크게 신뢰하지 않게 됐습니다.
그러나 가벼이 생각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바이럴 마케팅이라고 들어보셨습니까?
입소문, 평판을 뜻하는 말인데.
민감하지 않은 인터넷 글에 대해서 그 경계심을 푸는 순간,
우리는 한 명이 만들어내는 천 명의 주장이
여론이고 대세로 착각하게 됩니다.
나쁜 것이 좋은 것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확인 검증이 쉽지 않다고
가공의 존재를 만들어 놓고
여론을 교란하는 세상.
이런 세상에서 내가 나 답게 사는 길은
성찰의 우물을 더 깊게 파는 것입니다.
그것이 다수의 주장과 견해에
맹목적으로 휘둘리지 않는 길입니다.
한가지만 마음에 새기려고 합니다.
인터넷에서는 숫자를 믿지 말자.
내 생각의 깊이만 믿자.
용의 먹물이었습니다.